[Spark] Structured Streaming 이란

Spark Streaming 비교 및 사용시 문제점 / Unbounded Table / OutputMode(Complete, Update, Append)

Posted by Wonyong Jang on January 03, 2022 · 7 mins read

이번 글에서는 DStream 기반의 Spark Streaming과 Structured Streaming을 비교해 보면서 Structured Streaming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1. Pain points with DStream

기존에 DStream 기반의 Spark Streaming은 외부 데이터 소스로 부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처리 후 그 결과를 특정 파일 시스템 또는 RDBMS 등에 저장했다.

여기서 여러 연산 등이 이루어 질 텐데 엔진 차원에서 트랜잭션이 보장 되지는 않는다.

Spark Streaming에서 보장되는 것은 at least once 적어도 한번 처리는 보장 된다.

즉,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복구를 위해서 중복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드시 한번 처리(exactly once)는 보장되지 않는다.

트랜잭션 처리 및 반드시 한번 처리를 진행하려면 개발자가 직접 고려하여 개발해야 한다.

또한, 늦게 들어온 데이터에 대해서도 엔진 차원에서 보장해주지 않는다.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모바일 앱에서 주기적으로 이벤트를 전달 받고 있고, 이벤트에는 id, time, action 등이 있다.
이벤트 action 과 time 별로 counting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스크린샷 2023-07-26 오후 10 55 48

하지만, 위 집계 결과값을 보면 결과가 조금 이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시에 open action 갯수는 1개인데, close 갯수는 2개 이다.

정상적인 데이터라면 open 2개, close도 2개가 정상이다.

해당 결과값이 실시간 대시보드 또는 RDBMS에 저장되어 리포팅 된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pen action과 2:00 시의 이벤트가 지연되어 들어온게 원인이며, 이때 필요한 것은 조금 기다려주는 것이다.

분산환경이기 때문에 반드시 순서가 바뀌어서 들어오는 경우는 발생한다.

Spark Streaming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지원해주지 않기 때문에, 직접 구현하여 upsert 하는 등의 로직을 추가해 주어야 한다.
즉, Spark Streaming은 실제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아닌 엔진이 데이터를 수집한 시간 순으로 처리한다.

대부분의 비지니스는 실제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로 처리를 원한다.


2. Continuous Application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Structured Streaming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Spark Streaming은 micro batch 개념을 통해 설정된 batch interval 마다 계속해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끝이였다면, Structured Streaming 컨셉은 아래와 같다.

스크린샷 2023-07-26 오후 11 12 15

위 그림처럼 지속적으로 연산을 진행하며 동시에 트랜잭션을 엔진차원에서 보장해준다.
즉, exactly once를 개발자가 고려하는게 아니라 엔진이 보장해준다.

또한, 늦게 들어온 데이터 있다면 특정 시간 동안 기다려 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3. Structured Streaming

Structured Streaming은 Spark SQL 엔진에서 실행되며 DataFrame, Dataset를 사용한다.

당연히 Spark 에서 제공했던 fault tolerance, elastic scaling, in memory computing 등 동일하게 제공한다.

엔진이 exactly once를 보장하며, SQL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optimized 기능들을 동일하게 제공한다.

컨셉은 Unbounded Table로 무한 확장될 수 있는 테이블이며 아래와 같다.

스크린샷 2023-07-29 오전 11 32 17

DStream은 batch interval마다 들어온 데이터를 rdd로 만들고 순차적으로 처리해 나가는 방식이였다.

Structured Streaming은 들어온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테이블에 계속 추가해 나간다.

물론 물리적인 테이블에 계속 추가한다면 많은 디스크와 메모리 공간이 필요할 것인데, 실제로 이렇게 처리하진 않고 논리적으로 한계가 없는 테이블에 추가해 나간다.

스크린샷 2023-07-29 오전 11 42 08

위 그림에서 Input은 Unbounded Table을 의미하며, 논리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esult는 추가된 데이터에 쿼리(집계 및 여러 연산)를 실행하여 나온 결과값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인 결과를 뽑아 내는게 Output이다.

t=1 일 때, Unbounded Table에서 나온 결과를 리턴하고, t=2 일 때 동일하게 쿼리를 실행하여 결과를 리턴하는 방식이다.

3-1) Output Mode

Output Mode는 쿼리된 결과값을 어떻게 밖으로 쓸지에 대한 부분이다.

Output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3가지 종류가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모든 쿼리에 대해서 아래 output mode를 모두 사용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complete mode는 집계(aggregation) 쿼리가 아닌 단순 필터링이거나, 필터링 없는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할 수 없다.
complete mode는 모든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input 데이터를 모두 메모리에 가지고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집계 쿼리는 모든 input 데이터가 아닌 결과값만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complete mode를 사용할 수 있다.

Complete output

위에서 그림과 같이 매 시간마다 테이블의 모든 결과값을 리턴하는 output이다.

보통 집계 쿼리에 대해서 사용한다.

Update output

아래 그림과 같이 update 된 것만 리턴한다.

예를들면 t=1 에서 집계 결과와 t=2 에서 집계 결과가 다른 값만 리턴한다.

스크린샷 2023-07-29 오후 12 07 58

Append output

새로 추가된 값만 리턴하며, 이때 의미하는 것은 앞으로 절때 바뀌지 않는 최종적인 결과값을 의미한다.

default 로 append mode 이다.

즉, 위에서 update output은 앞으로 바뀔 수도 있는 값을 의미하며 append output은 절때 바뀌지 않을 최종적인 결과값이다.


4. Continuous Aggregation

Continuous Aggregation의 하나의 예를 살펴보자.

아래와 같이 카프카에서 데이터를 읽어 온 후 집계한다고 가정해보자.

스크린샷 2023-07-31 오후 10 18 56

카프카에서 해당 오프셋으로 읽어온 데이터를 집계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fault tolerance를 위해 WAL(write ahead log) 방식으로 hdfs에 저장해둔다.

스크린샷 2023-07-31 오후 10 24 28

그 이후 들어온 데이터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며, 위에서 언급한 unbounded table에 대해 쿼리를 실행하면 결과를 리턴해 줄 것이다.

만약 메모리에 결과값을 쌓아서 가지고 있다면 모든 데이터를 계속 메모리에 가지고 있는 것은 불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unbounded table이라는 것은 논리적인 개념이며, 무한한 전체 테이블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각각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위 그림처럼 Incremental Execution 1의 결과값을 Incremental Execution 2에 전달하여 전체 집계하면 무한한 테이블에서 전체 쿼리한 것과 같은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

https://fastcampus.co.kr/data_online_spkhdp
https://www.netguru.com/blog/spark-streaming